언어

언어는 문화 적응 과정에서의 중추적인 요소입니다. 라오스와 한국인 어르신들께서는 언어가 어떻게 그들의 소속감, 정체성 형성, 그리고 사회적 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다리이자 장벽의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강조하셨습니다. 여러 어르신들께서는 라오스어든 한국어든 모국어를 사용하는 것이 그분들 각자의 문화적 공동체와 유산에 연결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분들의 모국어에 대한 능숙함은 자녀들이 그들의 유산을 유지하는 척도로도 간주되었으며, 모국어에 유창하지 않은 것은 미국화라는 변화로 인식되며 일부 사람들에게는 그들의 문화적 뿌리가 점차 사라지는 것으로 인식되었습니다.

반대로, 영어 능력은 사회적 인정과 더 넓은 사회 참여에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라오스와 한국의 어르신들 중 많은 분들께서는 미국에 도착하기 전 또는 도착하자마자 영어 수업을 들으셨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과 가족에 대한 요구와 당장의 환경에서 인접한 사람들과의 모국어의 중요성으로 인해 대부분의 분들께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언어 학습을 중단하셨습니다. 어르신들께서는 모두 미국에서 수십 년 동안 살았고 이웃과 지역 공동체에 기여하셨습니다. 그분들은 영어 실력의 부족이나 모국어가 아닌 액센트가 무시, 차별, 영구적으로 외국인으로 인식되는 경험과 직접적인 상관 관계가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일부 분들께는 이러한 도전이 그분들의 자기 표현과 자율성을 제한했고, 어떤 경우에는 문화 공동체 외부의 사회적 또는 시민적 환경에서 다양한 수준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불편함으로 이어졌습니다. 제한된 영어 실력에도 불구하고, 동료 구성원의 지원을 구하고 사회적 및 직업적 의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신 분들도 있었습니다.

특정 언어를 넘어서, 많은 참여자분들께서는 자신의 경험을 말로 표현하는 것에 중점을 두지 않으셨습니다. 삶이 생존을 위한 것일 때가 많았고, 스스로를 표현할 수 있는 여건이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1세대와 젊은 1.5세대 및 2세대 간의 언어적 차이가 더해지면서, 적응, 상실, 정체성과 같은 중요한 측면들이 공유되지 않고, 때로는 번역될 수 없는 상태로 남게 되어 거리감을 느끼게 했을 수 있습니다.